본문 바로가기
주요 뉴스

다시 불거진 무역 전쟁🔥

by 복리김 2025. 2. 2.

미국이 수입(왼)/미국이 수출(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제품에 25%의 관세를,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보다 10%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조치는 오는 화요일부터 시행된다.

 

미국 정유업계의 우려를 반영해 캐나다산 에너지원에는 10%의 관세만 부과되지만, 멕시코산 에너지원에는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이 캐나다에서 수입한 원유는 약 1,000억 달러로, 캐나다산 수입품 전체의 약 25%를 차지한다.

 

자동차 업계도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조립된 자동차에 대한 높은 관세로 인해 북미 지역을 오가는 복잡한 부품 공급망이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의 반응과 경제적 영향😵

미국의 조치에 대해 캐나다와 멕시코는 즉각적인 보복 관세를 예고한 반면, 중국은 아직 공식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이번 조치에 대해 공화당은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민주당은 물가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EY 수석 이코노미스트 그렉 다코는 "이번 관세 조치로 미국 경제 성장률이 올해 1.5%포인트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캐나다와 멕시코는 경기 침체에 빠질 것이고, 미국 경제도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 인플레이션 동반)' 국면에 접어들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지난 1기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으로 인한 효과는 어땠을까?

'16~'21년까지 미국의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는 감소했다. 그러나 전체 무역수지 적자는 더 늘어났고, 특히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교역국 대비 적자가 크게 증가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캐나다와 멕시코까지 압박을 가하는 모양이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곧 인플레이션과 직결되고, 이는 곧 금리 인하 전망 후퇴로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26년부터 다시 긴축 정책을 구사할 가능성도 점쳐치고 있다. 하지만 빅테크, 금융 및 에너지,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완화라는 또 다른 경제 정책의 효과가 겹쳐져 있기 때문에 투자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많다. 현재로서는 우려와 기대가 교차되는 모습이다.

 

 

출처:

https://www.statista.com/chart/33851/countries-with-the-highest-value-of-good-imported-into-exported-from-the-us/

https://www.reuters.com/business/trump-readies-order-steep-tariffs-goods-mexico-canada-china-2025-02-01/

https://www2.deloitte.com/kr/ko/pages/insights/articles/global-economic-review/2024/ger-1124.html